![2018년 라돈침대 매트리스가 쌓여있는 충남 천안의 대진침대 본사. [중앙포토]](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008/27/add46f73-30e4-498c-baac-2070c96be261.jpg)
2018년 라돈침대 매트리스가 쌓여있는 충남 천안의 대진침대 본사. [중앙포토]
환경부, 폐기물관리법 시행령 일부개정안 입법예고
라돈침대 수거 2년만에 처리 방법 담은 개정안 마련
개정안의 주요 내용은 이렇다. 그간 폐기물에 포함되지 않았던 라돈 오염물질을 '천연방사성제품폐기물'로 항목화하고 '방사능 농도가 그램당 10베크럴 미만인 폐기물'로 명시했다. 처리 방법은 해당 폐기물이 가연성이면 소각 후 매립, 불연성이면 밀봉 후 매립한다.
라돈 폐기물, 일반 쓰레기와 섞어 소각…남은 재는 매립
천연방사성제품폐기물의 보관 기준도 마련됐다. 폐기물이 비산·유출·방출되지 않도록 밀봉한 뒤 지붕이 있고 통풍이 잘 되는 격리된 장소에 둬야 한다. 야적할 경우 빗물이 침투되지 않게 방수재질 덮개를 설치하고 지방자치단체장의 승인을 받도록 했다. 김유경 환경부 폐자원관리과 사무관은 "현재 야적장에 쌓아둔 라돈 매트리스 폐기물의 경우, 법 개정이 완료되면 지자체장 승인을 얻어야 한다"고 말했다.
![수도권의 한 쓰레기 소각장에서 쓰레기를 소각하기 위해 기계로 쓰레기를 들어올리고 있다. [중앙포토]](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008/27/ea8199a2-b3a4-4431-bbb2-dfbbf2c898c3.jpg)
수도권의 한 쓰레기 소각장에서 쓰레기를 소각하기 위해 기계로 쓰레기를 들어올리고 있다. [중앙포토]
시민단체 "소각재엔 성분 고농축…방폐장으로 보내야"
소각재를 일반 매립지에 묻는 것에 대해서도 반대했다. 이 정책실장은 "불에 태워 고농도로 응축된 재를 밀봉조차 하지 않고 일반 매립지에 묻는다는 건 말이 안된다"면서 "당연히 방사성 폐기물 처리장(방폐장)으로 보내야 한다"고 강조했다.
실행계획·로드맵 없어…"개정안 실행, 사실상 불가능"
이덕환 서강대 화학과 명예교수는 "전국을 떠들썩하게 했던 라돈 폐기물 처리 기준을 공론화 과정조차 거치지 않고 시행령으로 뚝딱 만드는 게 말이 안된다"면서 "은근슬쩍 졸속처리하겠다는 정부의 의도를 보여준 것"이라고 비판했다. 이 명예교수는 "특히 개정안에 주민 동의 절차조차 넣지 않은 것은 큰 문제다. 항의하려해도 법적 근거가 없는 것"이라며 "개정안대로라면 정부는 아무 데서나 태우고, 아무 매립지나 묻어도 되는 것"이라고 말했다.
![2018년 당초 충남 당진에 모아뒀던 라돈침대를 천안으로 가져오자 지역 주민들이 반대의 메시지를 담은 플래카드를 걸어놓고 시위를 벌였다. [중앙포토]](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008/27/6f211866-d415-4b94-9f9b-3c8de91dd9b9.jpg)
2018년 당초 충남 당진에 모아뒀던 라돈침대를 천안으로 가져오자 지역 주민들이 반대의 메시지를 담은 플래카드를 걸어놓고 시위를 벌였다. [중앙포토]
환경부 "모든 폐기물 처리에 주민과 협의하진 않아"
환경부 관계자는 "과학 실험을 거친 건 아니지만 방사성 농도 등을 고려해 일반 쓰레기와 혼합 소각을 결정했고, 원안위에서도 방사능 안전성 관리에 협조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또 주민 동의 절차가 빠졌다는 지적에 대해서는 "다른 폐기물 처리와의 형평성을 고려해 해당 내용을 담지 않은 것"이라면서 "모든 폐기물 처리에 대해 일일이 주민과 협의하게 돼 있는 건 아니다"고 덧붙였다.
박형수 기자 hspark97@joongang.co.kr
August 27, 2020 at 03:00PM
https://ift.tt/3gxx4KY
[단독] 2년 방치 '라돈침대' 480t, 태운 뒤 일반 매립지에 묻는다 - 중앙일보 - 중앙일보
https://ift.tt/2YpMYAa
No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