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s

Sunday, July 5, 2020

“한국 공정무역 아직 미미…'건강한 주류화' 모색 필요” - 한겨레

buahasema.blogspot.com
인터뷰 | 장승권 성공회대 교수

“규모 확대하되 가치는 지키려면
사회적 경제 조직 등이 주도해야”

장승권 성공회대 교수
장승권 성공회대 교수
“한국의 공정무역은 주류화되어야 한다. 그러나 주류화에 따른 문제를 해결할 전략이 필요하다.” 장승권 성공회대 경영학부 교수(사진)가 그의 저서 <공정무역 비즈니스와 운동>에서 주장하는 핵심 내용이다. 장 교수는 성공회대 경영학부와 일반대학원 협동조합경영학과 교수·학생들이 만든 협동조합 및 공정무역 연구모임 쿠피협동조합의 조합원이기도 하다. 이 책도 쿠피협동조합의 제자들과 함께 펴냈다. ―주류화가 왜 필요한가? “한국의 공정무역 시장은 우리나라 전체 경제 규모에 비해 너무 작다. 저개발국 생산자들에게 좀 더 많은 이익이 돌아가려면 공정무역 제품의 공급과 소비가 더 늘어야 한다. 영국 등 공정무역 선진국에서는 어느 가게에 가도 공정무역 제품을 볼 수 있을 정도로 주류로 자리잡았다.” <공정무역 비즈니스와 운동>에는 영국의 공정무역 시장 규모가 연 2조4천억원, 한국은 500억원으로 나와 있다. ―주류화가 되면 어떤 문제가 생기나? “공정무역에 다국적기업 등 다양한 주체들이 참여하게 되면서 공정무역의 가치가 훼손될 가능성이 있다. 규모는 확대하되 ‘정신’은 올곧게 지키는 ‘건강한 주류화’가 필요하다. 지금 다른 나라에서도 대기업들이 진정성 없이 공정무역을 이용해 먹으려고만 한다는 비판이 나오고 있다. 이른바 ‘페어워싱’(fair-washing, 공정무역을 이용해 비윤리적인 기업이 이미지를 세탁한다는 뜻) 현상을 경계해야 한다.” 전세계 주요 공정무역단체들의 협의기구인 ‘파인’(FINE)은 공정무역을 ‘대화와 투명성, 존중에 기초해 국제무역에서 좀더 공평한 관계를 추구하는 거래 기반의 파트너십’이라고 정의한다. 파인에 따르면, 공정무역은 특히 저개발 국가에서 경제발전의 혜택으로부터 소외된 생산자와 노동자들에게 더 나은 거래조건을 제공하고, 그들의 권리를 보호함으로써 지속가능한 발전에 기여해야 한다. ―건강한 주류화를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할까? “공정무역의 가치를 존중하는 공정무역단체와 생협을 비롯한 사회적 경제 조직들이 중심이 되어 주류화가 진행되어야 한다. 그래야 나중에 일반 기업이 뛰어들어도 긴장관계를 유지하며 감시가 이뤄질 수 있다. 20년 전만 해도 ‘비주류’였던 유기농 제품의 주류화도 생협 등 사회적 경제 조직을 중심으로 이뤄지다 나중에 대기업이 참여했다. 그래서 주류화에 따른 폐해를 막을 수 있었다고 생각한다.”
―공정무역마을운동의 의미에 대해 평가해달라. “공정무역마을운동은 민관협력에 기반한 풀뿌리 운동이다. 그런 점에서 공정무역을 건강하게 주류화할 수 있는 좋은 전략으로 볼 수 있다. 사회적 경제 조직들이 공정무역마을운동에 주도적으로 참여하고 있는 건 고무적인 일이다. 경기도에서 시작된 로컬페어트레이드도 건강한 주류화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본다.” ―공정무역은 ‘국제개발협력’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을 것 같다. “공정무역은 생산자들과의 연대를 통해 빈곤 문제를 해결하려는 글로벌 시민운동이다. 이런 점에서 저개발 국가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돕는 국제개발협력의 유력한 전략이 될 수 있다. 국제개발협력단체와 공정무역단체, 사회적 경제 조직 등이 유기적으로 협력할 필요가 있다.” 글·사진 이종규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 연구위원 jklee@hani.co.kr ▶관련 기사: 마을운동으로, ‘로컬페어’로…진화하는 공정무역
관련기사

Let's block ads! (Why?)




July 06, 2020 at 08:54AM
https://ift.tt/2ZygOCU

“한국 공정무역 아직 미미…'건강한 주류화' 모색 필요” - 한겨레

https://ift.tt/2YpMYAa

No comments:

Post a Comment